ABOUT ME

-

Today
-
Yesterday
-
Total
-
  • 60세 이상이면 아셔야 할 복지 혜택들
    시니어 2023. 10. 30. 17:27
    반응형

    안녕하세요.

    원케어방문요양센터입니다.

     

    오늘은 60세 이상이면 받을 수 있는 복지혜택 15가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
     

    1. 기초연금

    - 2014년 7월부터 시행된, 만 65세 이상 어르신 중 소득 하위 70%에게 지급되는 연금입니다.

    2023년 노인 단독 가구 기초연금 32만원,  노인부부 가구는 51만원을 지원받습니다.

    * 제외 : 공무원, 사립학교교직원, 군인 별정 우체국직원 등 직역연급 수급권자와 그 배우자

     

    신청방법 (소급지원X, 내 생일 한달 전부터 신청가능)

     

    2. 세액감면 제도

    1가구 1주택 종부세 세액공제 혜택

     

    3. 노인복지종합센터 이용가능

    만 60세 이상부터 자유롭게 이용 가능합니다. 각종 강좌, 취미, 봉사활동, 재능나눔 활동을 하실 수가 있습니다.

     

    4. 통신비 감면

     

     

    신청방법

     

     

    5. 비과세종합저축 가입 가능

    - 전 금융기관을 통하여 5000만원 범위 내의 저축에서 발생하는 이자와 배당소득에 대하여 저축 상품의 만기일까지 비과세 혜택을 부여하는 제도

     

    가입대상 - 만 65세 이상인 거주인

     

    6. 교통비 지원 혜택

    -지하철 및 도시철도는 무료이용

    -국내선 비행기는 10%, 국내 여객선는 20% 할인

    -KTX  및 새마을 호는 30% 할인 (주말 및 공휴일 제외) -신분증 지참

     

    7. 임플란트 지원 혜택

    - 만 65세 이상 어르신 본인부담금 30%로 부분틀니와 중복적용 가능 

    -1인당 평생 2개까지 보험 적용

     

    8. 고령자 계속고용장려금 

     - 정년을 운영중인 중소, 중견기업이  계속고용제도를 취업규칙 등에 명시적으로 도입하여 정년에 도달한 근로자를 1년 이상 계혹 고용하는 경우 1인당 최대 720만원(2년간) 지원하는 제도

     

    9.고령자 공공임대주택 우선공급대상

    -한달에 3~7만원의 비용으로 만 65세 이상 고령자를 위한 공공임대주택 공급

     

    10. 연말정산 추가 인적 공제

    -직계존속으로 만 60세 이상 일때 1명당 연 150만원 공제

    만 70세 이상 일때 1명당 연 100만원 공제

     

    11. 응급안전 안심서비스 

    -독거노인, 장애인 가정에  화재감지기나 가스탐지기를 무료 설치해주는 사업

     

    12. 노인 안검진, 개안수술 

    -어르신 눈 건강을 위한 안 검진 :만 60세 이상 어르신들 중 저소득층을 우선으로 시행

    -어르신 개안 수술: 만 60세 이상이며 기초생활수급자, 차상위계층, 한부모가족 어르신 들 중 수술비용 본인 부담금을 전액 지원 받을 수 있음

     

    보건복지상담센터 129 

    한국 실명 예방재단 02-718-1102

     

     

    13. 무릎 인공관절 수술 지원

    문의처

    노인의료나눔재단 02-711-6599

     

    14. 노인 보청기 국가보조금 지원

    기초수급자 청각 장애 등록자 131만원 지원

    일반 청각 장애 등록자는 117만 9천원 지원

     

    청각 장애 등록 신청절차

    주민센터 -장애진단의뢰서 ->병원-장애진단서, 진료기록지, 검사자료  ->주민센터-복지카드

     

     

    15. 세이브시니어재단 생활비 지원사업

    -병원비로 인해 어르신의 생활비가 부족할 경우 세이브시니어재단에서 생활비를 지원해 드리는 제도. 

     

    세이브시니어재단 홈페이지에서 신청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반응형

    댓글

Designed by Tistory.